본문 바로가기

판타지 이야기171

십천군(十天君) - 절교(截敎)의 선인. 진법의 대가. 십천군(十天君) : 절교의 선인. 진법을 사용하는 강자들이다. 문중의 요청에 따라 은나라 진영에 참여하여 태공망과 싸웠다. 진천군(秦天君) : 본명은 완(完), 푸르뎅뎅한 얼굴에 흩날리는 붉은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를 연기도사라 호칭한다. 천절진(天絶陣)을 다루는 선인, 금오십천군의 수장이기도 한 그는 문태사의 부탁을 받고 백록도에서 십천군을 규합하여 십절진을 펼쳐 태공망과 대결한다. 남극선옹의 제자 등화를 죽이는 전공을 세웠으나 문수광법천존의 둔룡장에 의하여 죽는다. ▷ 천절진(天絶陣) : 진 안에 깃발 세개가 꽂혀있는 단순한 진. 단 내부의 공기가 청기로 이루어져 있어, 공간의 기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들어간 자는 천기(天氣)가 감응을 해 감각을 잃게 하고, 두 번째로는 지기(地氣)가 감.. 2020. 10. 11.
나타(哪吒) - 신장. 보패 영주. 이름 : 나타(哪吒). 나타태자(哪吒太子)로 불리기도 한다. 신분 : 도교의 신장. 보패 영주(霊珠). 도교에서 정식 명칭은 중단원수(中壇元帥). 이정(李靖)의 셋째 아들로, 금타(金吒), 목타(木吒)의 동생이다. 원래는 불교의 호법신으로 비사문천(毘沙門天)의 셋째아들이었지만 신앙이 흡수되면서 도교의 신이 되었다. 원형은 힌두교 나라쿠바라(Nalakuvara)라고 한다. 모습 : 연꽃으로 만든 몸을 하고 있어 연꽃냄새가 나고 수려한 외모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전투시에는 삼두육비(또는 삼두팔비)의 모습으로 변한다. 업적 : 1. 봉신연의에 참가하여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봉신계획을 실현하는데 공을 세우다. 2. 천계에서 난동을 부리는 손오공과 싸우다. 3. 삼장법사 일행의 서천 여행에 도움을 주다. 전설 :.. 2020. 9. 22.
도덕천존(道德天尊) - 삼청. 도교의 창시자. 이름 : 삼청의 일원으로 이름은 도덕천존(道德天尊). 노자가 신격화 된 의미로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는 이름이 있다. 노자는 본명이 이이(李耳)로 전국(戰國) 시대 초기(B.C. 5세기~B.C. 4세기 전반)에 실재했던 인물이다. 신분 : 삼청의 일인. 원시천존의 보좌관. 도가의 개조(開祖). 모습 : 신장이 약 3m, 몸은 황색, 코는 새의 부리와 비슷하며, 눈썹의 길이는 17cm, 귀는 23cm나 되며, 거북으로 만든 침대에 길게 누워 있는데 몸에는 5색 구름이 휘감겨 있다. 거처 : 태청(太淸)인 대적천(大赤天)이란 곳에 계단이 은으로 되어있고 황금과 보석으로 장식한 어전(御殿)에 산다. 도덕천존의 전후좌우에는 천계의 동서남북을 지키는 수호신인 청룡靑龍과 백호白虎, 주작朱雀, 현무玄武가 호위하며, .. 2020. 9. 5.
영보천존(靈寶天尊) - 삼청. 혼돈,태극의 신. 이름 : 영보천존(靈寶天尊). 청경영보군, 삼계의왕태상도군, 태상도군(太上道君)이라고도 한다. 신분 : 도교 최고위 신 삼청 중 하나. 혼돈, 태극의 신. 주거지 : 삼청은 삼청경(三淸境)이라는 곳에 사는데, 옥청(玉淸)에는 원시천존, 상청(上淸)에는 영보천존, 그리고 태청(太淸)에는 도덕천존이 산다고 한다. 전설 : 우주의 시작인 혼돈을 상징하는 신. 도교에서는 혼돈의 상태이야말로 세계의 모든 사물이 생겨나기 위한 근원으로 보고 따로 태극이라고 칭한다. 영보천존은 새벽의 정기로 누구인지 모르는 홍씨라는 여인의 몸속에서 3700년 동안 들어 있다가 서나천 욱찰사 부라지악에서 출생했다고 한다. 그리고 출생한 뒤 모래나 티끌만큼 헤아릴수 없이 많은 사람들을 제도하였으며 영보천존 주변에 금동옥녀 30만인이 시.. 2020. 9. 2.
원시천존(元始天尊) - 삼청. 도교의 최고신. 만물의 시작점. 이름 : 원시천존(元始天尊). '상합하도군응호원시천존(上合虛道君應號出天等)'이라는 긴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상합허도군'은 천상계의 명칭이고 '원시천존'은 인간 세상의 명칭이라고 한다. 신분 : 도교의 최초최고신. 영보천존(靈寶天尊), 도덕천존(道德天尊)과 함께 삼청의 일인. 천지만물의 시작점. 거주지 : 그가 살고 있는 장소는 36천(天) 가운데 가장 높은 천상계인 대라천(大羅天)의 옥경산(玉京山) 꼭대기에 있는 현도(玄都)로 여기에서 제신(諸神)을 거느리고 있다고 전한다. 그곳에는 지상을 가득 채우고도 남을 만큼 많은 황금이 깔려 있으며, 어전(御殿) 계단은 순백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어전 주변에는 온갖 보석들이 널려 있으며, 나무에도 보석들이 매달려 있다. 바로 그런 곳에서 천상계.. 2020. 9. 1.
무산신녀(巫山神女) - 염제 신농의 셋째 딸. 운우지정(雲雨之情)의 어원. 이름 : 요희(瑤姬). 신분 : 염제 신농의 셋째 딸. 무산의 신녀. 모습 : 요희(瑤姬)란 우리말로 하면 ‘구슬 처녀’인데 보석처럼 곱고 아름다운 모습이었다 한다. 거주지 : 무산(巫山). 전설 : 염제 신농(炎帝 神農)에게 아들 외에 딸이 4명 있었는데, 첫째 소녀는 적송자라는 신선을 따라 도를 닦았고, 둘째 적제녀는 뽕나무 신이 되어 살다가 하늘로 승천했다. 셋째 요희는 어린나이에 요절했다가 후에 무산신녀가 된다. 막내 여와는 동해를 건너다 빠져 죽은 후 새로 변했다. 이중 요희는 보석처럼 예쁜 소녀였던 모양인데 불행히 시집도 가기 전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녀는 산기슭 양지 바른 곳에 고이 묻혔다. 그녀가 묻힌 곳은 양자강(揚子江) 중류에 있는 명산 무산(巫山)이라고 하는데, 후에 그녀는 요.. 2020. 8. 27.